태종 제1장 위화도 회군 ⅰ제1차 왕자의 난 1) 배경 : ① 정도전의 정치 로선 ; 정도전은 이성계와 더불어 혁명을 주도(맹자 역성 혁명론)했고 자신을 스스로 한나라 장량에 비유하고, 한고조 유방이 장량을 이용한 것이 아니라 장량이 유방을 이용했다며 이성계보다 더 자신이 개국의 주역임을 .. 역사고찰 2014.11.12
우암 송시열(3) 경종의 죽음(재위 4.2년) - 독살설(毒殺說) ▷ 연잉군의 연관 : 처조카 서덕수가 소급수 자백 후 처형, 경종이 연잉군에 준 사랑은 조선사회 어떤 형제애보다 컸음( 정치판의 희생 양) 시대 상황으로 볼 때 충분히 설득력 있음 소론으로 부터 궁지에 몰리는 노론 → 탈출구 필요한 상황 을사.. 역사고찰 2014.08.07
우암 송시열(2) 숙종의 등극(13세) 현종의 묘갈문 작성 김석주에 묘지문 작성 명 이단하에 행장작성(서인 송시열 제자) / 송시열 "所引禮'에서 所를 誤자로 고치도록 명 남인(삼사 포진)은 송시열의 죄를 청함 / 송시열은 덕원부로 유배(숙종원년, 1675년 1월) ☞ 5년간 유배생활 중 주희의 명분론을 탐독 남.. 역사고찰 2014.08.06
우암 송시열 출생 : 1607년11월12일(선조 40년) 충남 옥천군 이원면 구룡촌(외가) 태몽 : 부친 송갑조 / 공자가 그의 제자와 구룡촌에 찾아옴 본관 : 은진(恩津) 고려 중기 판원사(樞密院-궁중의 숙위 및 군기를 맏아보던 직의 으뜸) 송대원을 시조로 삼음 종 증조 송인수 대사헌 조부 송응기 도사 부 송갑조.. 역사고찰 2014.08.02
나를버리면 우리가 보인다. 조선의 왕통승계는 적장자가 이어가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적장자가 일찍 죽게되면 적손이 보위에 올라야했다. 그러나 역사가 어디 정해진 법대로 흘러가던가 ? 세조가 어린 조카 단종을 밀어내고 왕좌에 앉았고 세조의 아들 의경세자가 일찍죽자 2째 아들 해양대군(예종)을 보위에 올렸.. 역사고찰 2014.03.03
상대적 빈곤이 가져오는 변혁의 힘 지킬박사와 하이드는 인간이 갖고 있는 선과 악의 양면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우리는 살면서 이러한 상반되는 명제들과 자연스럽게 접하게 된다. 부자와 가난한자, 성공한 사람과 실패한 사람, 권력을 쥔 자와 잃은 자 등 수많은 단어들이 정 반대의 의미를 지니고 대립과 갈등을 겪으면.. 역사고찰 2013.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