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 로마제국의 멸망(서기 410년 ~ 476년)
패권국의 책무
- 팍스 로마나의 기능이 발휘되 못한 3세기 이후는 끝
- 알라리크의 침탈후 411 ~ 417년(7년)동안 재건
- 갈리아 → 야만족의 전쟁터로 변함
진행되는 야만족화
갈리아 5세기 야만족 침입, 제국의 통치에서 제외
프랑크족, 반달족, 브르군트족, 수애비족, 서고트족 / 5섯 부족에 의해 점유
- 갈리아 파견 - 콘스탄 티우스
- 야만족 - 갈리아 내에서 먹고 먹히는 전투
- 서고트족의 본거지 - 나르본과 주변의 봉쇄(식량보급 차단)
- 북에서는 다른 야만족이 처들어 오고 남쪽은 봉쇄 당하면서아타울프는 침착성을 잃고 피레네 산맥을 넘어 히스파니아로 이동하려 했지만 이베리아 반도엔 반달족과 수에비족이 침투중
야만족 = 손님이라 칭,
1/3 씨스템(서기 415년) : 로마 영토내 야만족 정착시 로마 시민 땅의 1/3을 야만족에 나눠주는 씨스템
1. 이독제독
2. 갈리아 서부를 서고트족 정착지로 제공
- 콘스탄 티우스 장군과 갈라플라 키티아 - 혼인
- 호노리우스 - 결혼인정(출신 낮은 장군 귀족 신분으로 끌어올려, 419년 아들도 태어나)
- 421년 공동 황제의 자리에 오름
콘스탄 티우스의 급사(자연사)
- 호노리우스 : 그의 죽음에 동요, 2살박이 발렌티니아 누스에 폭발, 갈라 풀라 키디아는 콘스탄티노 폴리스로 도망
- 423년 - 호노리우스 황제 사망(자연사)
- 2년 후(425년)6세의 발렌티아누스가 황제에 오름(후견인, 갈라 플라 키디아의 섭정 하에서)
군 사령관들 ← 서 로마의 향배
갈라 플라 키디아 (서기 425 ~ 450년)
장수 - 보니 파키우스(35세) - 아리우스파(부인) 혼 / 식량(북 아프리카)
아이 티우스(35세) / 갈리아 방위 담당
군 사령관 " 보니 파키우스"
- 북 아프리카의 분리독립 획책
아이티우스와 스틸리코의 이독제독(以毒制毒)
스틸리코 아이티 우스
------------------------------------------------------------------------------------------------로만인-------------------------------------------비 로마인----------------------------------- 로마 제국 방위 훈족 - 어릴 때 벗
독은 독이다. 우군과 적을 갈아타며 줄타기와 비슷한 곡예
알라리크 : 콘트롤 가능 로마군 약화
독은 독을 제어하는데 리용 타에 의존 - 자체힘 약화 → 독이 모체 침범
모체에 해를 입히지 않는다. 주도권 - 야만족에 넘어감
1) 훈족 - 훗날 적
2) 갈리아, 히스파니아, 북 아프리카 영토 전쟁으로
로마 침략 여력 없음
3) 황궁의 무력함
와해
중심번영 ←위성도시 강력한도시
카르타고의 함락 (439년) / 도나 투스파가 정복자로 가담 (가혹)
대량 난민 발생 → 탈 아프리카(사회 상층부 인사)
북 아프리카 교회 붕괴
반달족 - 30년전 북 유럽 오지에서 살아 도나 투수파의 조언 받아들여진 결과
대규모 농장 접수
도시 건물 접수
신앙 공유 않는자 - 노예화 위협
북아프리카 - 정복자를 피 정복자가 먹여 살리는 곳으로 전락(로마에 물산 공급 차단)
북 아프리카의 포기 - 서기 442년
훈족(흉노족) / 서서 다니는 야수, 쥐 가죽옷 입고 떨어질 때까지 입어 냄새, 기마,
그들이 강한 5가지이유
1. 목적이 없고 목적지도 없다.
2. 집을 갖는데 관심이 없다.
3. 법률이 없다.(윗사람 명령 절대적)
4. 가족 수호신이 없다. (인질이 필요치 않다. 통하지 않는다)
5. 내일의 양식을 확보해둔다는 생각이 없다.(약탈 몸에 베어)
서기 444년 훈족 족장 블레다(벼락사)후 동생 아틸라 승계
아틸라의 동로마 제국 요구사항
1. 금 700리브라에서 3배인 2,100리브라 지급
2. 훈족 군대 탈주자 돌려보낼 것 / 땅바닥에 엎드게 한후 천을덮고 기병이 오가는 방식으로 몰살
3. 포로 1인당 12솔리두스 금화 지불
4. 나이누스에서 북 도나우강 이르는 땅 요구(다키아, 트라키아 속주를 다 달라는 요구)
아틸라 훈족 연합 구성 / 서기 451년 6월
카탈라우눔(살롱)평원 전투
아틸라 죽음 / 훈족 연기처럼 사라져(사분 오열) ← 이탈리아 베네치아 늪지대
서기 450년 7월 28일 테오도 시우스 2세(50세) 사망 / 후계 마르키아 누스 황제
호노리 우스 황제(408년) - 스틸리코 살해(서고트족 겁탈- 410년)
발렌티아 누스 황제(454년) - 아이티우스 살해(반달족 로마 겁탈- 456년)
마지막 20년
- 권력자의 잦은 교체(정국불안)
- 정복자 통치 1) 정복자 직접 통치(반달족) / 상층부 잔존시 저항
2) 간접통치(서고트족)
로마의 시조와 마지막 황제가 일치
- 시조 : 로물루스(기원전 753년)
- 마지막 황제 : 로물루스(서기 476년)
'독서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 (0) | 2014.10.05 |
---|---|
중용 (0) | 2014.10.04 |
로마인 이야기(시오노 나나미) (0) | 2014.06.26 |
로마인 이야기(시오노 나나미) (0) | 2014.06.19 |
로마인 이야기(시오노 나나미) (0) | 2014.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