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후기

중용

해암 송구호 2014. 10. 21. 13:24

 

제39. 孝와 革命

 

요점 : 효는 서구인들의 인간관이나 가치관이나 행동규범에 결여돼 있는 동아시아 문명의 고유문화유산이며 21세기 인류문명의 지향점이다. 한국인은 기독교도 효기독론에 의거하여 수용하였다. 그러나 효가 펼쳐지는 마당은 수직적 구원이 아닌 수평적 연대의 역사의 장이다. 효는 혁명 주체세력의 연속성을 의미하기도 한다. 효는 협애한 혈통의 국한성을 벗어나 인간의 선업을선계함으로써 인간세의 보편적 도덕성을 구현한다.

1.孝(filial duty)

효는 서양에는 없다. 영어에서 유사한 표현은 자식의 경건한(filial duty)다. 효라는 언어와 관념은 우리 민족에 끊임 없이 도덕성의 근거를 제공한 위대한 무형 자산이다. 이집트 나일강 상류에서 도마복음(1945년 발굴)이 나왔다. 도마복음에는 예수를 하나님이라 칭하지 않는다. 아버지로 기록하고 있다. when you see one who was not born of woman. prostrate yourself on your face and worship him. that one is your father.(도마 15장)

다석 유영모(1890 ~1981)는  효 기독론에서 우리나라에 처음 기독교가 전해질 때 "하나님 아버지"로 불렸다.  만약 하나님이라고 했다면 대중성을 상실했을 것이라 했다. 지구상에 아카페적 사랑을 하는 존재는 엄마와 태양이다. 대기권 내 모든 생명체는 feed back을 하는데 유일하게 태양은 주기만 한다.

子曰 : 無憂者 其惟文王乎.

주나라 고공단부는 태백(太伯), 중옹(仲雍), 계력(季歷)을 두었는데 세째가 부인(太任)도 현숙하고 자식 昌(후에 文王)이 똑똑해 후계로 삼고자 했다. 아버지의 뜻을 알아 챈 두 아들이 머리를 깍고 집을 나가자 계력을 후계로 삼으니 계력의 아들 창이 왕위에 오른다. 文王은 武王과 周公을 낳았으며, 두 아들은 殷을 滅하고 周나라를 세웠다. 계력의 부인 태임은 혁명사상을 지닌 여걸이었다. 열녀전에 그에 대하여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父母三年之喪, 天下之 通喪也.

 어머니의 품에서 삼년을 절대적 의존관계로 있다가 겨우 세살이 되어야 스스로 걸음마를 한다. 생물학적 관계에서도 삼년의 은공이 있으니, 빈부와 지위고하를 妄論하고 부모상은 斬衰(삼년)를 해야한다고 공자가 말했다. 그의 제자 중 성서인물 가룻유다와 같은 인물, 재야가 삼년상은 무리가 따르니 "期可已矣" 스승께서 정하면 그 것이 곧 법이되니 일년으로  하면 어떻겠습니까 ? 라고 하자 공자는 나는 못하겠다. 넌 부모가 죽었는데 일년 후에 일상으로 돌아가도 아무렇지 않냐? 예 저는 괞찮습니다.

子生三年,然後免於 父母之懷(논어양회)

 효는 인간 존재의 연속성이며 문명의 역사를 가능케한 심성의 바탕이다. 역사에 오명을 남기지 않으려는 효가 존재를 연속케 만든다. 존재의 영원성은 역사에 남기고자 하는 도덕의 연원이다.

동방인의 하나님은 역사다.

2. 革命

子曰 : 武王, 周公 其達孝矣乎! 夫孝者 : 善繼人之志, 善述人之 事者也.

효라는 것이 꼭 부모에게 잘하는 것만 말하는 것은 아니다. 타인의 바른 뜻을 이어가고 그 것을 기록해 남기는 데 있다. 계력에서 문왕으로 무왕과 주공에 이르기까지 효를 통해 새로운 나라를 세웠다. 殷은 제사와 점술이 성했다. 제사에 쓰이는 음식과 술이 끊이지 않게 되니 왕은 백성을 다스리는 일에 소홀하게 되었다. 결국 殷나라는 周나라에 무너졌다. 

신사임당(1504 ~1551)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학자 율곡의 어머니다. 그녀의 號 師任堂은 季歷의 부인 太任을 스승으로 모시겠다는 의미를 담고있다. 아들을 왕으로 만들겠다는 혁명적 꿈을 지녔던 사임당에 비해 율곡 이이는 병약했다. 만약 율곡이 보다 힘과 야망이 있고 이순신이 전쟁에서 살아 남았다면 조선의 역사는 다른 길을 걸어갔을 것이다. 그러나 율곡은 그런 꿈을 꾸지도 않았고 이순신도 전사했다. 역사는 기득권자의 소유물이다.

'독서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  (0) 2014.10.22
중용  (0) 2014.10.22
중용  (0) 2014.10.21
중용  (0) 2014.10.20
중용  (0) 2014.10.20